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는 매해 봄나물과 닮은꼴 독초를 잘못 채취, 섭취하여 발생되는
식중독이 늘어나고 있다며 봄나물 채취와 섭취에 주의를 해야한다고 당부했습니다.
지난 10여년간 독초를 섭취하여 발생한 안전사고는 총 25건으로 86명이라고 합니다.
이 중 3명은 안타깝게 사망하였고, 이런 대부분의 사고는 2월에서 5월 사이에 발생이 되었다고 합니다.
봄철에 독초로 인한 식중독이 자주 발생하는 이유는 꽃피기 전 싹이 돋아나는 시기에는 봄나물을
채취하러 산과 들을 찾는 경우가 많은데요 일반인이 일부 봄나물과 독초를 구별하는 것에는
무리가 있다고 합니다. 오늘은 닮은 꼴 봄나물과 독초와 구별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 원추리 / 여로 >
꽃이 아름답기 때문에 관상용으로도 인기가 많은 원추리는 백합과의 여러해살이 풀로 뿌리는 한약
재료로 쓰이고, 잎은 봄에 돋아나기 때문에 봄 나물로 먹는다고 합니다.
담백한 맛과 부드러운 식감을 지닌 원추리는 '여로'라는 독초와 혼돈되기 쉽다고 합니다.
여로의 잎에는 깊은 주름과 털이 있지만 원추리 잎에는 주름과 털이 없다고 하는데요.
원추리와 여로 모두 콜히친 이라는 수용성 알칼로이드 독성분을 지니고 있는데 이 성분은 식물이
성장할수록 강해지기 때문에 원추리도 봄에 채취한 어린잎만 나물로 섭취하여야 한다고 합니다.
< 산마늘 / 박새 >
산나물 중 마늘향이 난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인 산마늘은 장아찌로 만들어 고기와 함께 먹는데요.
특히 울릉도에서는 춘궁기에 목숨을 이어준다고 하여 이 산나물을 '명이나물'이라고도 부른다고 합니다.
산마늘과 '박새'라는 독초는 구별하기 쉽지 않다고 하는데요. 산마늘은 줄기 하나에 잎 2 - 3장이 달려있으면서
강한 마늘 냄새를 풍기는 반면에 박새는 줄기 하나에 잎이 여러장 촘촘하게 어긋나있고 잎 주름이 뚜렷하며
잎 가장자리에 털이나 있다고 합니다.
< 곰취 / 동의나물 >
서늘한 고산지대에 자생하는 산나물인 곰취는 쌈싸름한 맛이 일품인데요. 곰취의 연한 잎을 잎자루 째
뜯어 쌈으로 싸먹거나, 장아찌로 담궈 먹기도 합니다. 또 데쳐서 무쳐 먹으면 곰취의 특유한 향긋함도
맛볼수 있다고 하는데요. 곰취는 유독 식물인 미나리아재비과의 '동의나물'과 쉽게 혼동된다고 합니다.
곰취는 향이 좋으면서 부드러운 잎에 고운 털이 나있고 잎의 끝이 뾰족한 반면에 동의나물은
향이 없고 잎의 끝이 동그스름하다고 합니다.
< 우산나물 / 삿갓나물 >
숲속 그늘진 곳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 풀인 우산나물은 잎이 새로 나올 때 우산처럼 퍼지면서
나온다고 하여 우산나물이라는 이름이 붙었는데요. 봄에 나오는 어린순을 나물로 먹으며
관상초로도 우산나물을 심기도 한다고 합니다. 우산나물은 다른 명칭으로 '삿갓나물' 이라고 불리기도
하는데, 이와같은 이름의 다른 종인 '삿갓나물'과는 다르게 구분 하여야 합니다. 후자의 '삿갓나물'은
독초로, 우산나물은 잎 가장자리가 깊게 2열로 갈라지는 반면에 독초인 삿갓나물은 줄기 끝에 가장자리가
갈라지지 않은 잎이 6 - 8 장 돌아난다고 합니다.
식용이 가능한 봄나물이라고 해도 소량의 독성분이 있기 때문에 충분한 지식없이는
봄나물을 채취, 섭취하는 것은 위험할 수 있기 때문에 가급적 채취, 섭취를 하지
않는것이 바람직 하다고 합니다. 또한 사전에 봄나물에 대하여 지식을 익혔다고
하더라도 구별이 어려운 식물은 채취하거나 섭취하지 않는 것이 안전합니다.
만약 야생식물이나 독초를 섭취하게 된 후 복통이나, 마비 등 이상증상이 일어나면
반드시 병원을 방문하고 또한 섭취하였던 독초를 함께 들고 병원에 가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무조건 건강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인이 맞아야 하는 예방접종 (0) | 2021.03.27 |
---|---|
알아두어야할 당뇨병 전조증상 (0) | 2021.03.26 |
못생긴 다리를 만드는 나쁜 습관들 (0) | 2021.03.24 |
부종과 비만에 도움이 되는 음식 (0) | 2021.03.22 |
숙면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방법들 (0) | 2021.03.20 |